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gtx a 파주-서울 개통 노선 시간표 요금 한눈에!

by 럭키가이07 2025. 4. 3.
반응형

약 1시간 30분 걸렸던 파주~고양~서울 이동 시간이 이제, ‘22분’으로 줄어듭니다. 지하철보다 3배 정도 빠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노선 '수서-동탄' 구간에 이어 ‘운정중앙~서울역’ 구간도 운행을 시작합니다.

 

 

 

GTX A 파주 운정중앙역에서 서울역까지

 

GTX A는 수도권을 빠르게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로, 최고 시속 180km의 속도로 운행됩니다. 지하 40m 아래를 달리기 때문에 일반 지하철보다 훨씬 빠르며, 운정중앙역에서 서울역까지는 22분, 동탄에서 수서까지는 21분 만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출퇴근이 더 빠르고 편리해집니다.

 

 

GTX A의 이용객 수가 벌써 25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3월 5일 기준으로 운정중앙에서 서울역 구간에서는 총 250만 명이 이용했으며, 일평균 이용객은 약 3.7만 명입니다. 평일에는 예측한 수치의 약 83% 정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수서에서 동탄 구간은 평일 평균 이용객이 7천명대에서 1.5만 명대로 급증했으며, '24년 4월부터 '25년 2월까지 두 배 증가했습니다.

 

 

 

GTX A는 3월 1일부터 출퇴근 시간에 열차가 더 자주 운행됩니다. 배차 간격이 10분에서 6.25분으로 단축되었고, 열차 수도 7개에서 10개로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하루 운행 횟수는 왕복 224회에서 282회로 증가하며, 상·하행 각 112회에서 141회로 늘어났습니다.

 

 

 

gtx a 노선 시간표 요금

 

GTX A개통 전, 파주에서 서울역까지 이동하는 데 기존 지하철은 46분(경의중앙선 운정역~서울역), 광역버스는 66분이 걸렸으나, GTX A 개통 후 이동 시간이 22분으로 크게 단축되었습니다.

 

 

또한, 수서에서 동탄까지는 광역버스를 이용할 경우 75분이 걸렸으나, GTX A 개통 후 21분으로 단축되었습니다.

 

 

GTX A 노선의 완성을 위해 미개통 역사인 창릉역은 지난 3월 말 착공되었으며, 이는 향후 창릉신도시 입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크게 향상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삼성역은 내년부터 무정차 통과가 이루어지며, 2028년에는 완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삼성역 무정차 통과가 완료되면 GTX A 노선 전체가 연결될 예정입니다.

 

 

 

■ gtx a선의 시간 단축 효과 (1단계, 2단계 개통구간)

 

 

 

GTX A 노선은 기존 전철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싸게 책정되었습니다. 기본 요금은 10km까지 3,200원이며, 이후 5km당 250원의 거리 요금이 추가됩니다.

 

운정중앙역에서 서울역까지, 또는 수서역에서 동탄역까지의 요금은 각각 4,450원입니다. 단, 승차 태그 후 동일 역에서 하차 태그를 할 경우, 별도의 부과 요금인 1,650원은 부과되지 않습니다.

 

 

GTX A 선을 개찰구에서 승차하면 환승 할인 적용을 받아 기본요금 1,550원만 지불하고, 하차 시에는 별도의 부과 기본 요금 1,650원과 거리 요금을 함께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GTX A 노선은 다른 수도권 전철 노선과 달리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에 대한 무임승차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gtx a 연계 교통 개선

 

GTX A 연신내역과 서울역의 환승 환경이 개선되었습니다. 연신내역에는 GTX A 전용 출입구가 3월 1일부터 신설되었고, 서울역에서는 2월 15일부터 지하철 1호선 환승통로가 개통되었습니다.

 

 

또한, GTX A와 연계 교통도 개선되었습니다. 운정중앙역에는 파주형 간선급행버스(PBRT) 2개 노선이 새로 운행 중이며, 동탄역은 연계버스 개통과 도로 개선이 완료되어 접근성이 향상되었습니다.

 

 

 

 

경기 김포시는 지난 1월 GTX A 킨텍스역과 연계된 시내버스 노선인 33번과 33-2번을 신설하고, 그 결과 약 3개월 만에 이용수요가 3배 급증하며 높은 운영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시는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해 이들 노선을 기획, 대중교통 편의를 크게 개선했습니다. 33번 노선은 김포 지역 북부 주민들의 한강신도시 이동 편의를 개선하고, 한강신도시에서 GTX A 킨텍스역과 지하철 3호선 대화역을 연결해 서울 및 고양시 방면으로의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33-2번 노선은 사우동, 북변동, 감정동, 걸포동을 중심으로 시내 이동 편의를 확대하고, GTX A와 연계해 서울 방면 출퇴근 교통을 원활하게 했습니다.

 

이들 노선의 운행 결과, 서울역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약 45~50분으로 예상대로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33번 노선은 하루 평균 이용객이 508명에서 1555명으로 증가하고, 33-2번은 187명에서 530명으로 증가하는 등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이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포시는 시내버스 공공관리제(준공영제)를 통해 도비 지원(30%)과 고양시와의 재정 분담을 확보하여 예산 부담을 완화하고, 노선 신설을 성공적으로 추진했습니다.

 

김포시 관계자는 "김포시민의 대중교통 이용 확대를 위해 인근 도시철도로의 연결을 중심으로 노선 조정 등 협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더 많은 시민들이 대중교통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김포시는 골드라인 혼잡률을 완화하기 위해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 중인 70C번과 70D번 노선을 정규화하는 방안을 경기도 및 서울시와 협의 중에 있으며, 올해 중 상시 운행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의 출퇴근 편의를 더욱 개선할 계획입니다.

반응형